연구

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를 소개합니다

성과확산
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를 방문하여 주신
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.
1. 제 1세부과제 연구내용 결과

학교정과체육의 내실화를 위한 중학교‘학교스포츠클럽 활동’활성화 방안 탐색
목표 | 학교정과체육의 내실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중학교 창의적체험활동의 ‘학교스포츠클럽활동’에 대한 운영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을 종합적으로 탐색

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
1.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개념
  • 다양한 스포츠활동의 체험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동아리 활동 영역에서 강조하는 교육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내의 ‘교과 외 학생체육활동’
2.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교육적 의미(목적)
  1. ① 학생 개인의 체육활동 참여 기회 확대 및 체력 향상의 토대 마련
  2. ② 단체 스포츠 활동에 내포되어 있는 다양한 가치 학습 기회의 제공
  3. ③ 자발적인 학생체육활동 중심의 스포츠동아리 문화 조성
  4. ④ 교육과정 내 체육수업과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 및 지역사회 스포츠클럽 연계
3.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운영 실태 및 문제점
  1. ① (인식) “운영”에 대해 대부분의 지도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
    ※ 도입 취지, 교육 방향, 학교폭력 해소 및 체력 저하 문제 해결, 소외 및 차별 현상 제거 등
  2. ② (운영실태) 대부분 정일제/학교급별 운영,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순증으로 운영, 지도교사 중 일반교사 및 스포츠강사가 다수, 체육 시설 이용 및 지도자 인건비를 기준으로 한 종목 선정,교내ㆍ외 시설을 함께 활용하는 운영 양상
  3. ③ (문제점) 지역사회 연계 미흡, 비체계적인 평가 방식, 보통수준의 시설 만족도,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낮은 이해도, 실제 지도 경험 부족
4.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활동 활성화 방안
  • 시설관련 개선보다는 맞춤형 종목 개설(다양화), 지도교사의 전문성을 담보로 한 수업 내실화, 여학생의 심리 성향을 고려한 수업 방식 개발이 가장 중요
5.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활동 활성화 방안
  1. ① 스포츠활동, 창의적 체험활동, 동아리 활동의 교육 목적이 융합된 수업 설계 및 운영
  2. ② 스포츠강사의 전문성 개발 및 자질 개선을 토대로 한 스포츠강사 중심의 수업 운영
  3. ③ 여학생의 심리적 성향을 고려한 종목 개설 및 수업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정과체육수업 내에서의 여학생 참여 활성화 유도
  4. ④ 수업 현장을 고려한 구체적인 운영 매뉴얼의 개발ㆍ보급 및 연수 경험의 확대 유도
2. 제 2세부과제 연구내용 결과

초등학교 학교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
목표 |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필요성 증대에 따라 학교생활체육 활동 참여 현황과 지역연계 사례를 파악하고 참여 성과와 실증적 결과 제시

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
1. 초등학교 학교생활체육 참여 현황 및 인식 조사
  • 각 학교는 ‘대표종목 있음(84.7%)’ 참여종목: 줄넘기(17.1%), 축구(16.5%) 등 참여희망종목: 축구와 배드민턴 등
    * 학부모: 축구>배드민턴
  • 참여기간 : 1년미만 남<여, 1년이상 남>여
  • 참여시간 : 아침, 오후 남>여, 점심시간 남<여
  • 학부모 학교생활체육 기대요인
    - 건강(체력)향상(54.9%), 자신감형성(49.6%), 친구가 많아짐(35.8%)을 기대함
  • 학부모 학교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인식
    - ‘운동에 소질이 없어도 참여 가능한 종목 개설(36.8%)’, ‘흥미 있는 종목개설(21.5%)’의 필요성 인식
  • 학교행정가의 지역사회 활성화 요인 인식
    - 지역사회의 연계 시설, 강사, 용품 지원 등 필요
  • 지도교사의 지역사회 지원에 대한 인식
    - 지역 ‘대체로 부족함’ (26.1%), ‘대체로 충분함’ (21.9%)

2.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지역사회 연계 사례
  •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사례 조사: 전남 Y, 경기 N, 충남 S초등학교
    - 지역연계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하는 3개교 전수 조사 후 담당교사 면담 및 프로그램 분석
  •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실시: 학교행정가, 지도교사의 의지가 중요
  • 지역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특성- 근교지역의 7-8개 학교를 중심으로 작은 리그 진행
    - 각 학교 교사의 역할 분담, 다수 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 선정- 지역사회 생활체육회 도움(재능기부, 교구)
3. 제 3세부과제 연구내용 결과

학생선수 학습역량 증진을 위한 체육특기자 입시 제도의 개선안
목표 |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만들기 위한 ‘학습권 보장제’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체육특기자 입시 전형제도의 개선안 마련

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
1. 학생선수 학교생활의 충실성 평가
  • 혁신적인 체육특기자 제도의 개선 방법보다는 학생선수를 선발하는 방법상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개선 범위를 확대. ‘입학사정관제’ 전형 평가요소에서 학생선수가 성취한 입상실적을 포함한 잠재력과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함
2. 평가 영역 및 내용 개발
  • 학생선수의 학교생활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정규수업 활동(교과 학습능력, 교과 학습참여)과 정규수업 외 활동(봉사활동, 동아리활동, 학교운동부활동,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)으로 평가 영역을 구분하고 세부적인 평가 내용을 제시함
3. 학생선수 학업성적 변화 추이
  • 종단연구를 통한 학생선수 학력 자료(2012~2013년도)를 토대로 학업성적에 차이가 발생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학생선수들의 기초학력수준은 점진적으로 향상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

4. ‘공부’와 ‘운동’을 병행하는 학교운동 문화로 정착
  • 학습문화 : 학교 현장의 적극적 지원 노력을 통해 학생선수들의 학습권은 지속적으로 보장 (학급 내 역할분담 (반장, 위원 등)에도 적극 참여)
  • 운동문화 : 운동부 담당 교사(지도자)의 인식 개선 확대, 학습활동이 가능한 운동부 환경으로 조성,교우관계(유대감) 폭 증가
4. 제 4세부과제 연구내용 결과

학생선수 진로교육 가이드라인 방향 설정 및 가이드라인 개발
목표 | 학생선수의 진로교육 가이드라인 방향을 설정하고 주체별 (정부 및 체육 유관단체, 학생선수, 지도자, 학부모 등)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 학생선수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

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
1. 학생선수 진로교육 가이드라인 방향 설정
  • 학교체육진흥법 내 학생선수 진로교육진흥법 관련 조항 삽입
  • 한국 실정에 맞게 재해석 한 ‘듀얼 커리어’ 개념을 정립
  • 학생선수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 고안
  •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및 지도자의 인식 전환
  • (예비) 지도자 연수를 통한 전문성 강화

2. 학생선수 진로교육 가이드라인 개발
  • 정부 및 체육유관단체 : 법적 기반 마련, 학교장 책임 강화, 특화된 진로교육 구성, 전문 인력 상담 및 배치, 중앙부처와 체육유관기관의 진로교육 지원체제 구축, 학생선수 진로 체험을 위한 기업과의 협조체계 구축
  • 학생선수 : 맞춤형 진로교육에 반드시 참여하도록 독려, 적극적인 자세로 정보 탐색 및 활용, 교내 진로교사와의 지속적인 상담 독려
  • 지도자 : 학생선수들에게 다양한 진로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기회 제공, 학생과 학부모에게 이외의 진로에 대한 정보 제공, 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 격려, 일정 시간 진로교육 연수 이수 의무화
  • 학부모 : 지도자와의 상담을 통해 자녀의 운동 및 학업 상황 파악, 평소 자녀와의 대화로 친밀감 형성,자녀들이 진로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지도

학교체육연구소 |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법학관 (303관) 1419호
부속기관(체육진로교육센터, 스포츠교육기부센터, 유소년체육센터) |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교수연구동 및 체육관 (305관) 112호
TEL | 02-820-6371 FAX | 02-812-0740

© COPYRIGHT(C) CHUNG-ANG UNIVERSITY. ALL RIGHT RESERVED

사용자 메뉴
AJPESS
논문 투고
체육진로
검사신청
체육진로
교육신청
스포츠 교육
기부신청
TOP